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아는기자 아자 정치부 이동은 차장과 여사들 논란, 어떤 상황인지 정확하게 짚어보겠습니다. 먼저 김정숙 여사, 오늘 반격에 나섰어요? <br><br>네, 여권의 공세가 계속되자 더이상 두고 볼 수만은 없다고 판단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언론에 나선 건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이던 윤건영 의원이었지만, 윤 의원 내 말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 여사의 뜻이라고 명확히 하더라고요.<br> <br>오늘 김정숙 여사 측이 명예훼손 혐의로 관련자들을 고소할 예정이라고 법적 조치를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누구를 고소한다는 게 없어요.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청와대 관계자에게 물어보니까요. <br><br>누구를 법적 조치할지는 검토중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"일단 지금 너무 공세가 심해서 끊고 가려고 한다"는 취지라고 하던데요.<br> <br>문재인 전 대통령 회고록 이후 여권이 정부 자료를 공개하면서 김 여사의 셀프 초청 의혹, 호화 기내식 의혹 등을 쏟아내고 있죠. <br> <br>민주당 내에서도 회고록으로 논란을 자초했다는 불만 기류도 있는데요. <br> <br>문 전 대통령 측은 윤석열 정부가 유리한 자료만 풀면서 의도적으로 흠집내기에 나섰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오늘 윤석열 대통령 내외 기내식 비용도 밝히라고 역공에 나섰는데요.<br> <br>윤건영 의원실 관계자는 외교부에 윤석열 정부 전용기 계약 자료를 요청했는데 주고 있지 않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Q. 김정숙 여사도 검찰 수사 대상이죠? <br><br>네, 서울중앙지검 1차장 산하 형사 1부에서 외유성 인도 타지마할 출장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올해 초 배정돼 아직 수사는 초기 상태입니다. <br> <br>Q. 김건희 여사 수사 건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? 막바지라면서요. <br><br>김건희 여사 역시 같은 서울중앙지검에서 맡고 있는데요. <br> <br>두 가지 건이죠. <br> <br>명품백 수수 의혹과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 의혹. <br> <br>가장 관심은 김건희 여사를 소환하냐, 하면 언제 하느냐인데요. <br> <br>이원석 검찰총장은 김 여사 소환 조사도 열어놓고 있습니다.<br> <br>[이원석 / 검찰총장(어제)] <br>"조사의 필요성을 충분히 검토해서 바른 결론을 내리리라고 저는 믿고 있고 그렇게 지도하겠습니다." <br><br>Q. 그럼 김건희 여사를 두 번 부르는 겁니까? <br><br>그게 수사팀의 고민입니다. <br> <br>현직 대통령 영부인인데 두 번 부르는 건 부담스러울 수 있겠죠. <br> <br>일단 명품 가방 수수 의혹은 수사가 막바지인데요. <br> <br>이 의혹의 경우 피의자 신분으로 고발됐지만 청탁금지법엔 공직자 배우자 처벌 조항이 없어 사실상 참고인에 가깝습니다. <br><br>소환해도 안 나오면 강제할 수 없죠. <br> <br>반면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 수사는 피의자 신분이지만 아직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.<br> <br>검찰이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과 묶어서 김 여사를 소환 조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Q. 그럼 언제쯤 소환 조사 가능성이 높은 건가요? <br><br>명품 가방 사건으로 검찰이 출석을 요구할 경우 이르면 이달 말이라도 가능하지만, 말씀드렸듯 참고인 신분이라 전적으로 김 여사 뜻에 달려 있습니다.<br> <br>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8월로 예상되는 권오수 전 회장의 2심 결과를 보고 소환할 가능성이 높은데요. <br> <br>이원석 검찰총장 임기가 9월까지거든요.<br> <br>임기 내 이 수사를 끝내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만큼 아직 여러 변수가 남아있는 겁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동은 기자 story@ichannela.com